슬기로운 정보나눔
내 퇴직연금, 어디서 어떻게 굴러가고 있을까?
슬기로운 나눔
2025. 5. 6. 15:00
[ 내 퇴직연금, 어디서 어떻게 굴러가고 있을까? ]
[ 목차 ]
3. [행동]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? 실전 기준표
1. 퇴직연금은 그냥 맡기는 돈이 아니다
퇴직연금은 회사나 개인이 외부 금융사에 적립한 퇴직금이에요.
이 돈은 적립만 되는 게 아니라 **금융상품에 투자되어 ‘운용’**되고 있습니다.
- DC형·IRP형은 내가 선택한 상품의 수익률에 따라 퇴직금이 늘어나거나 줄어듭니다.
- DB형은 수익률이 수령액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, 회사의 재무 상태와 운용 수익률에 따라 퇴직금 지급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.
☑️ 핵심은 ‘어떻게 굴러가고 있는지 확인하고 조치하느냐’입니다.
2. [실행] 내 퇴직연금 확인하는 3단계 루틴
▶ 1단계: 퇴직연금 통합포털 접속
- 사이트: https://100lifeplan.or.kr (통합연금포털)
- 준비물: 공동인증서 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금융인증서
- 경로:
▶ 로그인 →
▶ 퇴직연금 →
▶ [가입현황 조회] → 어떤 금융사에 어떤 상품이 있는지 확인
▶ 2단계: 금융사 앱 접속 (예: 국민은행, 삼성생명 등)
- 본인이 퇴직연금계좌(IRP/DC형)를 보유한 금융사의 앱 설치
- 메뉴명 예시:
퇴직연금 > 내계좌관리 > 운용상품 변경 - 운용상품별 수익률, 위험도, 보수(수수료) 확인 가능
▶ 3단계: 내 돈이 어디에 투자되고 있는지 점검
- 예금형에만 전액 투자돼 있다면? → 펀드형 일부로 리밸런싱 고려
- 수익률 1~2% 이하인 펀드? → 수익률 높은 유사 상품 또는 TDF 고려
- 잊고 있던 IRP? → 추가 납입으로 세액공제 활용 가능
3. [행동]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? 실전 기준표
상황 | 추천 운용 방식 | 이유 |
투자 초보 | TDF (타깃데이트펀드) | 은퇴 시점에 따라 자동으로 자산 조절 |
예금만 투자 중 | 예금+혼합형 펀드로 분산 | 수익률 개선 + 안정성 확보 |
중장년층 | 채권형 or 저위험 펀드 | 퇴직이 가까워 손실 위험 최소화 |
수익률 낮은 펀드 보유 | 유사한 다른 펀드로 교체 | 과거 수익률 + 비용 비교해서 변경 |
☑️ 운용 변경은 금융사 앱에서 5분 안에 가능합니다.
변경 수수료는 거의 없고, 리스크만 잘 선택하면 장기적으로 수익 개선 효과가 커요.
4. 오늘부터 시작하는 퇴직연금 관리 습관
☑️ 지금 해보세요:
- 통합포털에서 내 연금계좌 조회
- 금융사 앱 설치 & 로그인
- 수익률 낮은 상품 정리, TDF 또는 혼합형 편입
- IRP 보유 시, 연말정산 세액공제용으로 추가 납입
💬 퇴직연금은 은퇴 직전이 아니라, 지금 관리하는 자산입니다.
매년 운용상태를 1~2번만 점검해도 수백만 원 이상의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.